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행복한 삶을 위한 네 가지 요소들, 이중환의 택리지 중 "복거총론"을 중심으로

필수 정보

by 구레네하 2023. 5. 25. 02:43

본문

반응형

행복한 삶을 위한 네 가지 요소들, 이중환의 택리지 중 "복거총론"을 중심으로
이중환의 택리지

 

 

행복한 삶을 위한 네 가지 요소들

 

 

복거총론을 읽게 된 계기

 

나는 신정일의 새로 쓰는 택리지를 읽었다. 내가 한국지리 수업을 듣고 공부할 때 가장 흥미를 느꼈던 부분은 풍수지리였다. 나는 평소에 미신이나 사람들의 생각에 대해 관심이 많기 때문에, 옛사람들이 믿었던 미신과 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엿볼 수 있는 풍수지리에 대해 더 알고 싶었다. 교과서에는 풍수지리에 대해 자세하게 나와있지 않았기 때문에, 나는 이중환의 택리지에 나와 있는 복거총론을 통해 풍수지리를 더 알고자 “택리지”를 읽었다.

 

 

이중환의 택리지의 네 가지 내용

 

택리지는 크게 사민 총론, 팔도 총론, 복거총론, 총론 네 가지로 내용이 나누어진다.

사민 총론은 사공 농사에 대한 내용이 들어있고, 팔도 총론은 8도의 지리와 역사를, 복거총론은 사람이 살기 좋은 곳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중 나는 풍수지리와 관련 있는 복거총론을 유심히 읽어보았다. 복거총론은 '무릇 사람이 살 곳을 정할 때에는 첫째, 지리가 제일 좋아야 하고, 다음에 생리가 좋아야 하며, 다음으로 인심이 좋아야 하고, 또 다음은 산수가 좋아야 한다. 이 네 가지에서 한 가지만 모자라도 살기 좋은 땅이 아니다.'라는 두 문장으로 전체 내용을 요약할 수 있다 나는 “살기 좋은 땅”하면 땅의 모양과 자연물의 배치만을 떠올렸는데 눈에 보이는 땅뿐만 아니라 사람들의 “인심”도 중요하다고 이중환의 깊은 안목에 감탄을 하였다.

 

 

이중환의 복거총론이 강조하는 네 가지 요소

 

이중환이 복거총론을 통하여 강조하는 네 가지의 요소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중환은 “지리”가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지리”가 좋을 때 풍성한 수확을 거둘 수 있다고 이중환은 말합니다. 예를 들어, 엄격한 기준에 맞춰 나온 상품의 질이 좋듯이, 땅도 좋은 땅을 얻으려면 그만한 기준이 있어야 한다는 그의 생각을 엿볼 수 있었다.

 

둘째, “생리” 부분에서는 인간의 경제적 이익에 대해서 말하고 있다.

이중환은 토지가 기름지고 물자 교류가 잘 되는 지리를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특히 물자 교류에 관해서는 산지보다, 선박에 의하여 운송하는 것이 더 큰 이익을 가져다 준다고 주장하였다. 지금과 달리 농경사회였던 옛 시대에서 경제적 이익을 얻기 위한 필수 요소였던 땅과 물이 얼마나 중요했는지 나는 다시 생각할 수 있었다.

 

셋째, “인심”의 부분에서 이중환은 조선 8도의 인심과 당파 싸움에 대해 서술했다.

내가 인심 부분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것은 인심에 관한 이중환의 결론이다. 이중환은 인심이 좋은 곳은 살기 좋으나, ‘자신이 있는 곳에서 스스로 즐거움을 누린다면, 인심의 좋고 좋지 못함을 논할 필요가 없다’고 말한다. 나는 이 말이 내가 즐거운 곳이 가장 살기 좋다는 것처럼 들렸다. 나는 앞으로 어떤 조건이나 환경을 통하여 행복을 누리기보다는, 나 자신의 생각과 시선을 긍정적으로 바꾸어 지금 내가 있는 곳을 즐거운 곳으로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겠다고 다짐을 했다.

 

마지막으로, “산수”에서는 경치 좋은 곳이 살기 좋다고 이중환은 말한다.

이중환은 경치가 좋은 곳이 인간의 정신 건강에 좋다는 말을 하면서, 단순히 시각적인 행복이 아니라 심리적 안정도 매우 중요하다고 말하고 있다. 인간이 살기 좋은 땅은 인간의 마음이 편안해야 살기 좋다고 말할 수 있으므로, 나는 경치도 중요하다는 이중환의 의견에 동의한다.

 

 

복거총론을 읽은 후의 나의 생각

 

이중환의 택리지 중에서 ‘복거총론’에 대해 읽고 난 후, 나는 풍수지리에 대해 다시 생각할 수 있었다. 이전까지는 그저 미신인 줄 알았지만 좋은 땅을 고르는 것은 상당히 과학적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옛사람들이 땅을 고를 때 무엇을 고려하고 무엇을 중요시하게 여기는지 또한 알 수 있었다. 시대에 따라 사람들의 관점은 변하므로, 내가 살고 있는 21세기에서는 땅을 볼 때 어떤 조건에 의하여 보는지 조사하여 조선과의 차이점을 비교해 보고 싶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